지구온난화 기후 변화 해결방안 대책 대응으로 인공적인 층적운과 성층권 가짜 화산을 이용한다고??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인공적인 해결방안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내용은 BBC코리아에서 참고했습니다. 층적운을 이용한 인공적인 흰 구름1991년 6월 필리핀에 있는 피나투보 산에서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 폭발이 일어나면 화산재와 황산염이 지상 10킬로의 하늘까지 치솟았다.화산 연무를 타고 퍼진 화산 물질만으로도 1500만톤에서 1700만톤으로 추정됐다.15개월 후, 과학자들은 놀라운 사실을 알았지만 화산 물질이 태양 광선을 막고 그 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0.6도 내려갔을 것이다.한다고 과학자들 사이에서 재미 있는 가정이 나왔다. 만약 이런 역할을 하는 구름을 인공적으로 만들면 지구 온난화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 따르면 세계는 12년 안에 온실 가스 배출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그리고 2050년까지 온실 가스 배출을 전면 중단해야 한다.그러나 최근 나온 자료에서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이 오히려 늘고 있다.지난해 11월 유엔의 배출 격차 보고서가 급하게 절감 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한 이유다.현재 지구에 오는 태양 광선의 30%는 우주로 반사되어 극지방 빙하 같은 지구의 하얀 표면이 이 역할을 한다.특히 바다에 빙하가 떠올라노조미의 부분은 반사율이 높다.반면 바닷물만 검은 바다는 불과 6%를 반사한다.이 때문에 극지방 빙하가 녹아 있는 오늘의 상황이 지구 온난화를 더욱 가속화된다는 우려도 나온다.이를 막기 위해서는 빙하에 대신 지구의 하얀 표면을 찾아야 한다.피나투보 화산 폭발 후 반사 표면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과 관련해서 많은 아이디어가 나왔다.지구 주변의 궤도에 거울을 두고 극지방에 풍력으로 작동하는 얼음 기계를 만들어 수십 억톤의 규산 구슬을 뿌리고 줄어든 빙하 대신 산 꼭대기를 희게 칠한다는 계획도 있었다.바다에 흰 구름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것은 가장 진지하게 고려되는 프로젝트다. 구름은 태양광을 반사한다.구름에 덮인 샛별이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이유다.구름 속에는 바다의 층적운이 중요하고 이 층적운은 지구 표면의 20%를 덮고 있지만 태양광 반사의 30%를 담당한다.미국 과학 기술 의학 아카데미의 태양 지구 공학 위원회 등을 갖춘 다양한 집단이 이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에든버러 대학의 스티븐·살타ー 명예 교수는 이 연구의 핵심 인물이다. 그는 1970년대에 파도와 조석에 대해서 연구했다.그때, 배가 지날 때에 생기는 오염 물질이 바다에 있는 구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이는 오염 물질 입자가 수증기가 모여들응결 핵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이 입자를 중심으로 굳어진 물방울이 태양광을 반사하는 하얀 구름이 되는 것이다.살타ー은 영구 대기 과학자 존·라 탐과 함께 바닷물 소금을 사용하고 이 방법을 시행하고 보기로 했다.그러나 쉽지 않았지만 입자를 분사하는 노즐이 바닷물에 부식하거나 막히거나 한 것이다.현재 그의 연구 팀은 컴퓨터와 풍력을 활용하고 무인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을 구상 중이다.그는 1초에 10입방 미터를 뿌리는 기술만 있으면 지금까지 지구에 생긴 온난화 피해를 되돌릴 수 있다며 연간 1억 2억달러가 드는 유엔 기후 회담보다 예산도 적다고 말했다.그의 계산은 바닷물 소금을 뿌리는 300척의 선박이 있으면 지구 온도를 105도까지 낮출 수 있으며 다른 기상 이변에도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인공 흰 구름을 만들어 구름 아래로 온도를 낮추면 해양 수온이 높을수록 세력이 커지는 허리케인과 엘니뇨에도 대처할 수 있다.태양지구공학의 부작용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가뭄과 홍수, 농업 파괴 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추측이 있을 뿐이다.기술을 무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무엇보다 지구공학을 빌미로 온실가스 배출 노력을 게을리할 수 있다는 지적이 거세다.미국에서는 칼리완저 박사를 중심으로 MCB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있다.2010년 출범한 이 프로젝트의 구상은 스키장에서 인공눈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이 팀은 캘리포니아 주 몬테레이 만 부근에서 눈보다 1만 배 작은 입자를 초당 3조 개 분사할 계획이다.완저 씨는 처음에는 구름 하나만으로 실험을 한 뒤 점차 규모를 키워가기 때문에 날씨나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이 같은 단계별 연구는 최소 10년이 걸리지만 부작용 논란 때문에 시작도 못한 상태다. 가짜 화산다른 방법도 있지만 피나투보 화산이 했던 것처럼 성층권에 에어로졸을 뿌리는 방법(SAS)이다.이렇게 하면 땅에서는 안 보이는 비상으로 가는 입자가 성층권에 머물어, 태양 광선을 반사한다.2017년 미국의 국립 대기 연구 센터는 대기권에 에어로졸 입자 1테라그램(1조그램)을 뿌리면 지구 평균 온도가 0.2도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추산했다.그러나 이 방법도 기상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모른다. 게다가 바다에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흰 구름은 3일 정도에 없어진다.그러나 인공 성층권은 피나투보 화산 폭발의 흔적처럼 2년 정도 남아 있을 가능성도 있다.하버드 대학의 태양 지구 공학 연구 프로그램은 SAS를 연구하고 있다.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책임자 엘리자베스·번스 씨는 “태양 지구 공학은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한 일시적인 보조 방법인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온실 가스 배출을 완전히 제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실제로 SAS는 매우 우려할 계획이다. 인공 흰 구름 계획은 스프레이 노즐 하나를 만드는 데 비해서 이 계획의 규모는 테라그램이다.시민 단체와 지역 단체 100여곳은 손을 맞잡고 지구 공학에 반대하는 선언을 했다.그들은 지구 공학이 생물학적 다양성 등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모든 지구 공학 실험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엑손 모빌과 셸을 화석 연료의 핵심 기득권으로 지목하면서 빌딩·게이츠 등이 지구 공학 연구를 지원한다고 비판했다.그러나 번스 씨는 “하버드 대학 태양 지구 공학 연구 프로그램은 화석 연료 산업에서 어떤 자금 지원도 받지 않아 향후도 이 원칙을 지킨다”이라고 말했다.사실 기후 변화를 줄이기 위해서 태양 지구 공학보다 쓸 수 있는 방법은 많다.식수나 화석 연료 대신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는 등이다.어쩌면 부작용이 우려되는 태양 지구 공학을 검토하는 것만으로도 세계 각국의 정부는 온실 가스 배출 감소에 대한 압박감을 느낄지도 모른다.번스는 솔직히 태양 지구 과학은 무서운 것이라고 했다.화석 연료와 이산화 탄소는 이미 대기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임시 방편에서도 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을 찾아야 하고 전 세계가 생각해야 한다.지금까지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